Under Pressure : Third Age

[컴퓨터] kt 인터넷이 1시간마다 끊김 현상이 있을 때 본문

공부 이야기/컴퓨터와 IT

[컴퓨터] kt 인터넷이 1시간마다 끊김 현상이 있을 때

한매화 2017. 8. 30. 21:17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KT 인터넷 사용자들이 고질적으로 겪는 문제 중 하나는 다름아닌 쾌적한 인터넷을 즐기고 싶을 때,

1시간마다 인터넷 연결이 해제되면서 끊기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여 많은 사람들이 노력하여 알아낸 원인은 다름아닌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의 문제였는데, 이것의 역할은 서버(여기서는 라우터 및 KT 기본제공 공유기)에 요청을 하면 사설 IP(172.~ 로 시작하거나 192.~로 시작하는 IP 들)를 "일정시간" 동안 할당해준다.


그 "일정 시간" 이란 것 때문에 KT 인터넷 사용자들 중에서 기본 제공 공유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데, KT에서 기본 제공하는 공유기는 1시간마다 IP의 임대 기간을 갱신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나는 KT 인터넷 사용자의 입장에서 해결법을 찾기 위하여 구글신과 네박사에 도움(이라고 쓰고 검색이라 읽는다.)을 요청하였고, 해결법을 찾아서 지금은 아주 잘 쓰고 있다.


물론, 여기서 제시하는 해결법은 KT 기본 제공 공유기를 사용하는 유저들에 한해서이고, 만약 그 외의 문제로 인터넷이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문제(하드웨어 - 랜 케이블, 랜 카드 등)에서 해결법을 찾아봐야하는 숙제가 남게된다.




1.
이 문제를 해결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인터넷이 끊기는 시점에 대해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위에서 보다시피 임대 시작 날짜와 임대 만료 날짜가 있다.
이는 내 컴퓨터가 IP를 할당받은 시작 시간과 재할당받기 전에 IP가 소멸되는 시간인 것이다.


그러니까 임대 만료 날짜 전까지 재할당을 받지 못해서 인터넷이 끊기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포스트를 참고하자.(링크 : http://blog.naver.com/cyj5858/220507684490)


링크된 포스트에서와 같이 우리는 BroadCast를 강제적으로 활성화시켜줌으로써 계속해서 만료날짜를 연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2.
먼저 윈도우키+R 을 동시에 눌러서 실행창을 열고, regedit 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수많은 영어로 도배되는 이상한 창이 뜨게 되면, 화면 왼쪽의 트리형 탐색기를 통하여 다음 주소를 찾아간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cpip\Parameters\Interfaces\


흔히 TcpIP 서비스 문제라고도 하는데, 어쨌건 저 Interfaces 까지 가면 그 하위 폴더로 여러 개의 서브 폴더들이 보일 것이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저 키 값들(하위의 서브 폴더 이름들)이 조금씩 틀리겠지만, 어쨌건 우리가 찾아야 할 값(이름)은 "DhcpConnForceBroadcastFlag"라는 값이다.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찾는 이름은 한개의 서브 폴더에만 있을수도 있고, 여러개의 서브 폴더에 여러개가 존재할 수도 있으니, Interfaces 하위에 존재하는 모든 "DhcpConnForceBroadcastFlag"를 찾아서 모두 1로 바꿔준다.


그리고 반드시 재부팅하여야 한다.




3.
재부팅까지 완료하면, 이제 별 문제가 없는 한 인터넷 끊김이 없이 컴퓨터를 즐길 수 있다.



만료날짜가 초기에는 1시간 간격이었다가 30분쯤 지나면 30분 연장되고, 계속해서 연장되는 식이기 때문이다.


본인도 이 문제 때문에 게임을 하다가 한번 우루루 튕기고나서 던전을 포기해야했던 쓰라린 기억 때문에 울어본 적(...)이 있기 때문에, KT를 쓰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란다.


허나, 회사 회선과 같이 허브와 공유기가 여러대 물려 있는 환경이라면, 아마 다른 방법을 찾아야하지 않을까 한다.